장학생 커뮤니티
장학생 커뮤니티에서 정보를 확인하세요.
장학생 커뮤니티에서 정보를 확인하세요.
참석자: 수의과대학 박사과정 / 전공: 수의산과학
발표 형태: 포스터 발표 (CYP1A2 관련 연구)
장소: 수안보상록호텔, 충북 충주
일시: 2025년 7월 3일(목)~4일(금)
생명과학·수의학 분야 연구자에게 학회 참여는 매우 중요한 경험입니다. 특히 박사과정 중에는 자신의 연구를 학문 공동체에 소개하고 다양한 연구자들과의 의견 교류를 통해 연구의 방향성을 점검하는 기회가 됩니다. 이번에 참석한 2025 한국동물생명공학회 정기 학술대회는 국내 동물생명공학 분야 연구자들이 한자리에 모여 최신 연구 결과를 공유하는 뜻깊은 자리였습니다.
저는 이번 학회에서 '돼지 난소에서의 CYP1A2 발현과 여름철 열 스트레스 반응 간의 연관성'에 관한 포스터 발표를 진행하였습니다. 본 연구는 여름철 열 스트레스가 돼지의 생식기능에 미치는 영향 중 CYP1A2 단백질의 발현 변화에 주목하였고 이 단백질이 계절성 불임(seasonal infertility)에 어떤 역할을 할 수 있을지에 대해 분자생물학적 접근을 시도한 것입니다. 포스터 발표를 통해 열 스트레스 환경에서의 생식세포 반응에 관심을 가진 다양한 연구자들과 깊이 있는 의견을 나눌 수 있었습니다.
이번 학회에서는 포스터 발표 외에도 다양한 구두 발표와 특강이 마련되어 있었습니다. 특히 인상 깊었던 세션은 Plenary Lecture I 중 하나였던 김영준 박사님의 발표로, CRISPR 기반 유전자 편집 돼지 개발 사례를 소개해 주셨습니다. 정밀한 유전자 편집 기술이 축산 분야에 어떻게 활용되고 있으며 장기적으로 질병 저항성과 생식능 향상에 어떤 기여를 할 수 있을지에 대한 구체적 설명은, 제 연구에도 적용 가능한 통찰을 제공해주었습니다.
또한 Open Mini Talk 세션에서는 젊은 과학자들이 발표한 다양한 주제들이 흥미로웠습니다. 예를 들어, 황재연 박사님의 발표에서는 정자의 편모 운동을 조절하는 신호전달 경로가 소개되었는데, 이는 생식생리학적으로 매우 중요한 주제로 수컷 생식력 향상 전략 수립에 많은 시사점을 제공했습니다. 다양한 발표를 들으며 분자 수준의 생식 조절 메커니즘과 최신 유전체 분석 기술이 실질적으로 어떻게 접목되고 있는지 알 수 있었습니다.
학회 현장에서는 단순한 정보 전달을 넘어 연구자들과의 네트워킹도 중요한 부분이었습니다. 다양한 대학 및 연구소 소속 연구자들과의 대화를 통해 유사 주제를 다루고 있는 연구 동향과 각자의 접근 방식에 대한 정보를 공유할 수 있었습니다. 특히 산업체에서 참여한 분들과의 의견 교류를 통해 기초 연구가 실질적인 산업 응용으로 확장되기 위해 고려해야 할 요건들에 대해서도 고민하게 되었습니다.
이번 학회 참가 경험은 단순한 발표 이상의 의미를 가졌습니다. 자신의 연구를 보다 체계적으로 설명하는 훈련이 되었고 연구의 사회적·실용적 가치를 스스로 점검하는 계기가 되었습니다. 앞으로도 학회 발표를 목표로 연구를 구체화해 나가며, 실질적인 임상·산업 적용 가능성을 고려한 방향 설정에 더욱 힘쓰고자 합니다.
0 개의 댓글